지난해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덧 1년이 넘었지만, 참사가 남긴 상처는 해가 두 번 바뀌도록 아물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 한해 주요 사건 사고 이슈를 돌아보는 '2023 끝나지 않은 이야기들'. <br /> <br />오늘은 연내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여전히 거리에 선 유가족 이야기를, 임예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축제가 악몽으로 바뀐 날, <br /> <br />지난해 10월 핼러윈 데이, 어떤 보호도 받지 못한 채 159명이 희생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 (지난해 10월 30일) : 통상과 달리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고요.] <br /> <br />1년 하고도 두 달이 흘렀는데 이태원에 있던 유족들의 천막은 서울광장을 거쳐 국회까지 왔습니다. <br /> <br />독립적인 조사기구를 통해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자는 내용의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"정부는 이태원 참사 진실 규명 협조하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하라" <br />(마련하라 마련하라 마련하라) <br /> <br />하지만 연내 처리는 가시밭길, 참사에 책임이 있는 사람을 처벌하자는 법안은 여야 정쟁의 한가운데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논의 중심에 있어야 할 유족들은 조금씩 밀려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가족들이 이렇게 얼어붙은 길바닥에 몸을 맞대는 것도 벌써 네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잘못한 사람이 응당한 책임을 지게 하려는 간절한 호소입니다. <br /> <br />치안·경비 총책임자였던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검찰의 판단은 아직도 안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이 사건을 넘긴 지 1년이 다 됐는데, 재판에 넘길지 말지를 결정하지 못한 겁니다. <br /> <br />구속돼 재판을 받던 박희영 용산구청장과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정보부장,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까지, <br /> <br />참사 관련 핵심 인물들은 보석으로 줄줄이 풀려났고, 아직 단 한 명도 처벌을 받지 못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도 탄핵이 기각되면서 업무에 복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민 /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: 정말 가족을 잃은 슬픔을 길바닥에 (몸을) 던짐으로써 우리가 원하는 걸 꼭 이뤄지기를 국회에 요청하는 그런 마음이기 때문에 춥거나 덥거나 이런 게 우리에겐 아무 소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2년째 잊히지 않기 위해 애쓰는 유족들이 언제쯤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, 책임 있는 누구도 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태원 거리는 이제 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예진 (imyj7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22723480855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